이름에 가스가 들어갔지만 가스유체역학은 일반 유체역학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연소공학은 열역학적 부분과 연소관련 내용이 섞여있습니다.
가스설비/ 가스안전관리/ 가스계측
이 3과목은 그냥 암기입니다.
비슷비슷한 내용이 약간의 차이로 숫자가 다르고 표기법이 달라서
암기하는게 매우 까다롭습니다.
그럼 이 과목들을 어떻게 공부해야하느냐?
우선 1,2과목인 유체와 연소는 기본기가 있어야합니다.
서점에서 가스기사 필기책을 구입하세요.
책마다 큰차이 없고 본인에게 맞을거 같은 책을 구매하시면됩니다.
책이 내용알차다고 해서 다 외울수 있는거 아니잖아요
그러니 본인에 맞는책 하나를 일단 구입합니다.
그리고 유체와 연소는 처음부터 이론을 파고 들어가세요
아마 처음 공부할때는 이게 뭔말인가하고 시간이 상당히 들어갈겁니다.
그래도 무조건 한바퀴를 돌려야 합니다.
그 한바퀴를 돌린다음 과년도 문제를 풀면서 모르는게 있으면 다시 이론으로 넘어가
확인하고를 반복하셔야 합니다.
이론을 한바퀴 안돌리고 그냥 문제를 풀면 하나도 이해가 되지 않고
시간만 날리고 문제는 다 틀립니다.
그러니 이론 한바퀴 후 과년도! 이게 유체와 연소의 공부방법입니다.
그런데 암기과목인 뒤에 3과목은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합니다.
우선 책을 봅니다.
정독하며 이론 공부해라는게 아니라 그냥 훑어봅니다.
10분에 한과목 본다 생각하고 어떤 내용을 다루고 어떤게 어디에 나와있는지 정도만 봅니다.
이렇게 한번 보고 나면 이 과목이 어떤 스타일인지 알게 될겁니다.
그후에는 바로 과년도로 넘어갑니다.
어차피 과년도에 나왔던거 위주로 나오고 광범위이기 때문에 책에 안나오는것도 많이 나옵니다.
그러니 과년도만 보는게 가장 효율적 공부법입니다.
이렇게 공부하다가 모르는게 있으면 앞에 이론을 다시 조금 보고 다시 문제풀고를 반복합니다.
그러다보면 반복되는 문제들이 하나씩 머리에 남게되고
문제의 흐름도 알 수있습니다.
필기는 이정도 수준으로 공부하면 합격점인 60점을 넘길 수 있을겁니다.
100점 맞을 필요없잖아요?
실기
문제는 실기입니다.
몇년전만해도 실기는 가스통을 용접하고 몸으로 뛰어 평가받는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잘된건지 모르겠지만 최근에 일반 기사자격증처럼 문제풀기로 바뀌었습니다.
주관식 문제푸는 필답형과 동영상보고 문제에 답하는 작업형으로 나뉩니다.
책을 구매해 보면 알겠지만 암기할게 매우 많습니다.
법규들도 많아서 암기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도 외워야합니다.
공부방법은 다른거 없습니다.
기출문제를 죽도록 파고드는겁니다.
최근 5년치부터 암기합니다. 10년치 공부해야지 하고 넓게 공부하는것보다
아는것을 확실하게 외우고 있는게 중요하기 때문에 최근년도 기출부터 공부합니다.
어중간하게 알고있으면 실제 시험장에서 제대로된 답을 적기 힘듭니다.
문제의 연간관계를 생각하면서 깊게 공부해야합니다.
때로는 빈칸을 만들어놓고 외우기도 하고 다양한 암기법으로 공부해야합니다.
암기가 많기 때문에 결과는 노력에 비례합니다.
틈틈히 공부하면 반드시 합격하는 시험입니다.
어설프게 공부하면 다음 회수에 또 시험 처야하기 떄문에 한번에 합격하도록 노력해
자격증 취득하길 기원합니다. ㅎㅎ
시험일정
가스기사는 매년 정기기사 시험 1,2,3회 때 시험이 있습니다.
3번있다고 쉽게 보면 1년 내도록 가스기사만 공부할 수 있습니다.
한방에 끝내버리세요!
'자격증 정보 > 일반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합격의 지름길! 가선점 주는 자격증을 알아보자 (0) | 2017.07.03 |
---|---|
모든 한자시험을 파헤쳐보자! 필승공부방법 한자능력검정시험 어문회... (0) | 2017.05.21 |
공기업 취업준비를 위한 필수자격증/ 왜 자격증이 필요할까? (0) | 2017.05.17 |
[자격증] 에너지관리기사 정보/ 필기 실기 공부방법/ 합격후기 (0) | 2017.05.10 |
[취업 자격증] 일반기계기사 정보/필기,실기 공부방법/ 합격후기 (0) | 2017.05.09 |
[취업 자격증] 산업안전기사 정보/ 필기 실기 공부방법 (0) | 201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