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를 구매했으면 자동차용어는 기본이겠죠?
그런데 생각보다 용어도 모르고 운전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차 관련이야기를 하는데 생소한 용어에 멍한 표정을 지으면 안됩니다.
특히 카센터에서 차용어 이야기하는데 아무것도 모르는 표정지으면 초보라 생각하고 막대하는 나쁜곳도 많습니다.
뭐 그것보다 차를 끌고다닌다고 다가 아니라 기본적인건 꼭 알고 넘어야가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기본용어부터 정리해보는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우선 오늘은 자동차의 외관전면부에 대한 명칭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생각보다 정면에서 보이는 부위의 이름이 많습니다.
위에서부터 하나씩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1. 루프
한글로 하면 지붕, 천장이라는 말이죠. 말 그대로 자동차의 윗부분을 말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루프는 아무것도 없지만, 일부분을 개패할수있는 선루프가 있습니다.
선루프에도 종류가 있는데 가장 기본적인건 운전석,조수석 윗부분만 열리는것이 있고,
뒷부분까지 다같이 열리는 파라노마 선루프도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분이 아니라 전체가 개방되는 컨버터블형, 즉 오픈카 형태도 있습니다.
선루프는 미관상도 이뻐보이고 하늘을 볼수있는 장점도 있지만 일반 루프보다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가 있긴합니다.
2.윈드쉴드
일반적으로 그냥 차 앞유리창, 전면유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영어를 번역하면 말그대로 앞에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는 거죠.
드라마나 영화에서 사고영상을 보셨겠지만 이 유리는 사람이 안다치게 하기 위해서 깨질때 일반유리처럼 깨지는게 아니라 산산조각이 납니다.
한번씩 고속도로를 달리다가 다른차 바퀴에서 튕긴 조그마한 돌맹이에 금이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3. 보닛
본네트 열어라~할때 본네트가 바로 본닛입니다. 영어발음을 그대로 하면 본네트라고 하는데요. 정식 명칭은 보닛이라네요.
자동차의 주요 부품인 엔진을 덮고 있습니다.
보닛을 여는방법은 차마다 조금씩 다르긴하지만 일반적으로 보닛끝쪽을 보면 걸이가 있고 그걸 풀면 보닛이 열립니다.
4. 프론트 범퍼
소모품이라고 보는게 마음이 편합니다. 가벼운 접촉사고나 주차할때 긁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냥 소모품이니 그렇다고 그러려니 놔두시고 많이
부서지면 고치는게 맞는거라봅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범퍼부딪치는건 별거아니라고 생각하더라구요.
물론 고급차는 제외입니다ㅎㅎ
내부를 보면 스펀지처럼 충격흡수를 할수있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5. 라디에이터 그릴
그냥 디자인 아닌가 생각할수있지만 이건 역할이있습니다.
엔진과 가까워서 차 내부의 열과 라디에이터 냉각에 필요한 통풍구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디자인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부분입니다.
자동차 회사마다 디자인중 특히 이부분에 가장 신경을 쓴다고들 합니다.
6. 헤드램프
램프가 여러개 있는데 그중에 가장 중심이 되는 램프입니다.
야간에 빛을 밝혀주는 역할을 하는 램프죠.
상향등과 하향등으로 구조되어있습니다.
램프는 빛의 규정이 있기 때문에 함부로 튜닝하면 안됩니다.
7. DRL (Daytime Running Lamp)
주간주행등을 말합니다.
2015년 7월부터 생산된 자동차에는 설치가 의무화되어있습니다.
역할을 낮에 차량운전시 구별이 가도록 빛을 내는 램프입니다.
8. 포그램프
안개등을 말합니다.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램프입니다.
비오는날 또는 안개낀날 같이 날씨가 안좋은 상황일때 사용하는 램프입니다
멀리 쏘는 램프가 아니라 넓게 퍼지는 램프라 가시성이 좋습니다.
이렇게 전면부 명칭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건 정말 기본중의 기본이겠죠?
다음번에는 후면부 명칭, 그리고 내부 명칭등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차량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종류가 너무 많은데 어떻게 구별하나요? (0) | 2017.11.08 |
---|---|
초보자 필수코스 자동차용어를 알아보자_ 차량옆면부 (0) | 2017.11.05 |
자동차 용어정리, 초보자용 차량후면용어를 알아보자 (0) | 2017.11.04 |
부산 자동차 정비소 추천 _ 공임나라 (0) | 2017.10.03 |
한번에 알아보는 자동차 정기검사 예약하는 방법 (0) | 2017.09.12 |
자동차정기검사 쉽다쉬워 _ 해운대자동차검사소 (0) | 2017.09.11 |